본문 바로가기

형변환2

형변환(Casting) 모든 변수와 리터럴에는 타입이 있다. 프로그램을 작성하다 보면 같은 타입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타입 간의 연산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럴 때는 연산을 수행하기 전엔 타입을 일치시켜야 하는데, 변수나 리터럴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을 형 변환(Casting)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int타입과 float타입의 값을 더하는 경우, 먼저 두 값을 같은 타입으로 즉, 둘 다 float타입으로 변환한 다음 더해야 한다. 형변환 방법: 형 변환을 하고자 하는 변수나 리터럴의 앞에 변환하고자 하는 타입을 괄호와 함께 붙여주기만 하면 된다. 타입(피연산자) 여기에 사용되는 괄호()는 캐스트 연산자 또는 형 변환 연산자라고 하며, 형 변환을 캐스팅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double d.. 2020. 11. 2.
변수/상수, 자료형, 자료형 변환 상수(constant): 고정된 값 변수(variable): 값을 저장하기 위한 영역(공간적 개념) 자료형(type): 값을 저장하기 위해 변수를 선언할 때 입력해야 하는 자료의 유형 자료형(Type) 기본형(primitive) 숫자형 정수형(integer) 실수형(double, float) 문자형(character) 논리형 논리형(boolean) 참조형(reference) 클래스(Class) 인터페이스(Interface) 나열형(Enum) 배열형(Array) *기본형과 참조형의 차이점: 기본형은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반면, 참조형 변수는 어떤 값이 저장 되어 있는 주소를 값으로 갖는다. *변수에 값을 넣기 위해서는 항상 값을 넣을 공간인 변수를 먼저 선언해야 한다 ex) int a=10; → int 타.. 2020. 7.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