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tc../AWS

AWS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

by 최로이 2020. 8. 7.

AWS EC2는 가상 컴퓨터(서버)라고 생각하면 된다.

EC2에 대한 설명은 앞서 했기 때문에 생략(참고: https://0707gray.tistory.com/25?category=953957)

 

1.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

*프리티어 회원가입을 통해 이미 로그인 했다고 가정하여 작성되었다.

 

1. 서비스 목록의 EC2 선택 후 인스턴스 시작.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초기 단계로 Region 지역을 설정하고 [인스턴스 시작]을 클릭.

**Region: 리전은 AWS의 서비스들이 제공되는 서버의 물리적인 위치(지역)을 의미.

 

 

2. [인스턴스 시작]을 클릭하면 AMI를 선택해야 한다. 본인이 하고자 하는 OS기반의 AMI을 선택하면 되는데, 나는 리눅스로 할 생각이니 Linux 운영체제로 선택했다. 리눅스 체제는 두 개가 있으나 나는 위에 리눅스 버전을 사용했다.

 

 

3. 인스턴스 유형 선택.

프리티어 계정으로 가입했기 때문에 기본 값으로 설정해준다.

 

 

4. 인스턴스 세부 구성.

모두 기본값으로 구성해도 무방하지만 IAM 역할을 설정하고 싶다면 IAM을 설정해줘도 무방하다. IAM이 뭔지 잘 모르겠다면 간략한 정보를 https://0707gray.tistory.com/24?category=953957에서 참고해도 좋다.

 

 

5. 스토리지 추가.

인스턴스의 볼륨유형에는 Root가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또한 불륨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여기에서는 기본 값은 범용 SSD를 선택하면 된다.

 

 

6.태그 추가

태그 추가의 경우 메타데이터를 키값으로 만들어 간편하게 사용하기 위해 지정하는 것으로 지정해줘도 지정하지 않아도 괜찮으며 추후에 재설정이 가능하다.

 

 

7. 보안 그룹 구성.

인스턴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를 하는 방화벽을 설정한다. 인스턴스는 가상머신이기 때문에 접속을 하기 위해서는 터미널을 통해 접속해야 한다. 그래서 SSH 22번 포트만 기본값으로 작성 되어 있는 상태다.

 

추가적으로 방화벽 오픈이 필요하다면 더 입력해줘도 무방하다.

웹서버로 활용하려면 HTTP(80)이나 HTTPS(443) 정도는 추가해줘도 좋다.

 

 

8. 인스턴스 시작 검토.

적용사항을 확인한 뒤 [시작] 버튼을 누르면 된다.

 

 

9. 키 페어 선택 & 생성

키 페어(Key Pair)는 SSH 터미널로 인스턴스에 접근할 때 꼭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외부에 노출되는 상황이 벌어져서는 안 되며, 분실해서도 안 되기 때문에 반드시 사용자가 잘 보관하고 있어야 한다.

 

  1) 처음 만드는 인스턴스의 경우 [새 키 페어 생성]을 선택하여 [키 페어 이름]을 설정하고 [키 페어 다운로드]한다.

  2) 키 페어를 다운로드 하면 .pem 파일이 생성되는데 터미널 접근에 사용되므로 잘 보관해야 한다.

  3) 키 페어를 다운받고 [인스턴스 시작]을 놀러 인스턴스를 시작한다.

 

 

 

10. 인스턴스 확인

생성이 완료된 인스턴스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인스턴스 상태 >> running], [상태검사 >> 검사 통과 상태]로 되면 되면 인스턴스를 실행되고 있는 상태가 된 거고, 만약 해당 인스턴스를 삭제하고 싶다면 마우스 우측 클릭을 통해 [인스턴스 종료]를 실행하면 몇 분 후 인스턴스가 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etc..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IAM의 개념과 IAM 사용자 & 그룹 생성  (0) 2020.08.07
S3, 버킷의 개념과 생성  (0) 2020.08.07
AWS Architecture  (0) 2020.07.22
AWS EC2  (0) 2020.07.21
AWS 주요 기술 간단 정리  (0) 2020.07.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