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3
S3: 간략하게 파일 서버라고 보면 된다(참고: https://0707gray.tistory.com/24?category=953957)
AWS 주요 기술 간단 정리
**각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추후에 공부하며 정리할 것이므로 기본적인 것만 정리 AWS SQS(Simple Queue Service): 해야 할 일을 나중에 처리하거나, 다른 시스템이 처리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비동기
0707gray.tistory.com
- 많은 사용자가 접속을 해도 이를 감당하기 위해서 시스템적인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
- 저장할 수 있는 파일 수의 제한이 없다.
- 최소 1바이트에서 최대 5TB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서비스 할 수 있다.
- 파일에 인증을 붙여서 무단으로 엑세스 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 HTTP와 BitTorrent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 REST, SOAP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 데이터를 여러 시설에서 중복으로 저장해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할 경우 자동으로 복원한다.
- 버전관리 기능을 통해서 사용자에 의한 실수도 복원이 가능하다.
-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서 보호 수준을 차등 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비용을 절감 할 수 있다. (RSS)
이 때 버킷이란 파일들을 그룹핑한 최상위 디렉토리를 말한다. 버킷으로도 Region을 지정할 수 있고, 버킷에 포함된 모든 파일(객체)에 대해 일괄적으로 인증과 접근 제한을 걸 수도 있다(IAM Role)
2. S3 버킷 생성하기
1) S3에 버킷을 만들기 위해서는 [버킷 만들기]를 클릭하여 [버킷명]과 [지역(Region)]을 지정하고 [다음]을 클릭하면 된다. 다만 기존에 생성된 버킷이 있고 그 버킷의 설정값을 그대로 적용시키고 싶다면 [기존 버킷에서 설정 복사]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버킷명은 소문자 또는 숫자로 시작해야 하며, 대문자가 존재할 수 없다.
2) [다음]
3) 퍼블릭 액세스 설정 창이 나온다. 여기에서 말하는 퍼블릭(public)이란 파일, 디렉토리, 버킷을 다른 임의의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다는 의미다. S3는 기본적으로 private으로, 작성자와 권한을 부여한 일부의 사용자만이 접근 가능하다. 그러나 웹과 같은 서비스는 임의의 사용자들이 버킷 내 파일에 접근 가능해야 한다. 하지만 데이터 보호를 위해 기본은 private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실수로 파일이나 버킷을 퍼블릭으로 변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장치를 두었다.
4) [버킷 만들기]
5) 버킷 목록에서 생성된 버킷을 확인해보니 정상적으로 생성된 걸 확인할 수 있다.
6) 만약 생성한 버킷에 대한 액세스 권한 설정을 다시 설정하고 싶다면 [권한] 탭에서 설정 가능하다.
위에서는 모든 퍼블릭 엑세스를 차단했으나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액세스 설정을 퍼블릭 버킷 내의 객체를 읽을 수 있도록 액세스 차단을 해제해준다.
6-1)
'etc..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Lambda (0) | 2020.08.15 |
---|---|
IAM의 개념과 IAM 사용자 & 그룹 생성 (0) | 2020.08.07 |
AWS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 (0) | 2020.08.07 |
AWS Architecture (0) | 2020.07.22 |
AWS EC2 (0) | 2020.07.21 |
댓글